케이블카
Posted 2010. 11. 7. 22:51더 이상 케이블카는 낭만스럽지 않다.
오늘 북한산을 타고 백운대까지 갔다. 얼마전 김두식 선생님 트윗에서 북한산, 지리산 등에 케이블카 건설 - again, the to-die-for word for too many people in power these days - 에 반대하여 매일매일 백운대에 올라가셔서 1인 시위를 하시는 분이 있다는 걸 읽었다.
안개가 자욱한 날의 산행이었다. 앙상했을 나무와 흐드러진 잎들이 보이지 않아 섭섭했지만, 나름 운치있는, 포근함.이 좋았다.
우리가 앉아서 쉬는데 보니까, 김준상씨가 다리를 툴툴 털면서, 피켓을 들은 팔을 이리저리 바꾸며 움직이시는 모습이, 굉장히 팔다리가 쑤신 사람처럼 보였다.
자연공원법이라는게 있댄다. 국립공원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려면 이 법에 저촉이 되는 거였고, 지난 9월 20일에 자연공원법 시행령 개정안이 임시국무회의를 통과하여, 10월 1일부터 시행령이 발효되었다. (관련기사 국립공원에 케이블카 설치 초읽기) 아직, 케이블카 설치가 결정이 난것은 아니지만, 이제 합법적으로 이 작업을 수행할 토대는 마련된 것이다. 인간이, 자연을 두고 감놔라 대추놔라 법을 만든다는게 새삼 우습다.
건설이라는, 개념 자체에 무조건 반사적으로 도리도리하게 되는 시대를 살고 있다. 그런데, 좀 더 냉정하게 다시 생각해봐도 이건 아니다. 아 그냥 쫌, 제발 그냥 좀 놔둬줬으면 좋겠다.
생각해보니, 한 2년 전 쯤인가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 케이블카 설치 찬반토론을 들었던 적이 있다. 찬성의견을 주장했던 분은, 장애인들과 노인들에게 산악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나 혹은 나와 가까운 사람이 장애인이라면 내 입장이 분명 달라질 수 있겠지만,
난 정말, 여기에 장애인 논리를 들이대는 사람들에게, 제발, 플리즈, 지하철이나 - 장애인프렌들리까지는 아니더라도 - 장애인들이 다닐 수 있게나 만들어달라고 말하고 싶다.
사실,
이걸 타구, 3800미터가 넘는 몽블랑에 올라갔더랬다. 좋았다, 편리하고.
산에 가서 사람들이 바글바글 하는 광경을 보면 난,
왠지 뭉클, 한국 사람들이 굉장히 자랑스러워 진다.
'살다 살리다 살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목은 생략 (3) | 2010.11.10 |
---|---|
하루동안 (0) | 2010.11.08 |
November 2010 (7) | 2010.11.01 |
결국은 밥, 이었으. (4) | 2010.10.31 |
사랑을, 안 믿을 수도 있나? (2) | 2010.10.29 |
- Filed under : 살다 살리다 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