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오는 날의 애벌레
Posted 2010. 10. 2. 23:57미국에 갔을 때 산이 그리웠다.
특히, 나파갔을 때 예쁜 포도밭 주위로 썰렁한 산을 보니 울나라 산이 더 소중하게 느껴지는.
벌써 일년이 훌쩍 넘게 한 달에 두 번 이상씩 수유리에 가고 있지만,
정작 삼각산/북한산 (whatever you want to call it)에 올라간 횟수는 손에 꼽는다.
이 동네 사는 친구들은 동네 뒷산에 가듯, which it is for them, 이 산을 들락거린다.
특히 명진이 언니는 일주일에 5일은 올라간다. 그래서 이 산을, 그녀는 잘 안다.
나도 오늘은 모처럼 등산화까지 챙겨왔건만,
비가 와주시고.
그래도 우리는 명진언니의 안내를 따라 우산을 들고 저벅저벅 빗 길을 나섰다.
너무 챌린징한 코스를 가지 않고 그냥 둘레길을 걷기로 했다.
나름 예쁘장하게 푯말을 달고 샛길 연결하고 다듬어서 만든길.
내가, 산을 좋아하는 첫 번째 이유는 킁킁 나무냄새가 좋아서이고,
이유 2번은, 그 산을 오를 때, 내 신발 바닥이 산 길의 흙과 살짝 맞 닿으며 일으키는 그 어긋남 때문이다. 한 걸음 한 걸음 내딪을 때 마다, 신발 바닥에 거푸집같이 나 있는 틈으로는 흙이 안착되었다 빠지고, 평평한 부분에서는 흙과 신발이 밀리는 느낌.을 상상하게 된다. 쌩뚱스러운 상상이기는 하지만, 하이킹이 나에게 주는 묘미이다. 흙을 너무 밟지 못하고 살아서 그런건가?
아무튼, 그런데, 이 만들어진 계단은 산 길의 흙과 나의 접촉을 방해한다.
(이러다가, 고난이도 코스에서 체력이 소진될 때는 또, 급. 계단이 고마워지기도 한다.)
평소 토요일 같으면 줄을 지어 올라가야 할 텐데 (우리가 딱히, 가파른 상행을 한 것은 아니더라도),
비 덕분에 한갓진 숲속을 걷는 여유를 즐길 수 있었다.
우리는 고개를 넘어서 화계사로 들어갔다. 여름에 해인사에 당겨왔더니, 화계사가 너무 작아보였다. 혹시나 수종사처럼 예쁜 茶방이 있을까 두리번 살펴보았지만, 실망.
한국에서 살면서 여기저기 마주쳐야만 하는 것이 공사판이건만,
이 현장을 여기서까지 봐야하는 건가. 화가 났다. 그냥 산은 산대로 있게 두면 안되나.
산에 올라와서 멀 또 전망대를 올라가서 봐야 하나.
... 그래도 그냥 한 번 올라가봤다.
훕 - 여기 올라와서 보니 경치가 더 좋긴 좋으네.
(그래도, 불필요하다고 여긴다.)
한쪽으로는 복짝복짝한 서울이 내려다 보이고,
뒷 편으로는 화계사, 아카데미 하우스 (사진에서는 잘 안 보인다), 도봉산이.
우리처럼, 이 전망대에 올라오신 아저씨 아줌마 일행에게 사진 한 컷을 부탁드렸다.
올라갈 때는 가르멜수녀원 담벼락을 지나 올라가서,
화계사를 한 번 찍고,
영락기도원 쪽으로 내려왔다.
나무 냄새 신선한 이곳에서 산뜻하게 한국사회의 종교적인 화해/소통이 일어나면 좋겠다고
우리는 웃으면서 말해본다.
(근데 나는, 그 때 타자로 남아있고 싶다는 생각 =_=)
비 때문에 충분히 오르지 못한 것을 못내 아쉬워 하며... 마을로 돌아왔다.
바지 끝자락이 흥건히 젖었다.
특히, 나파갔을 때 예쁜 포도밭 주위로 썰렁한 산을 보니 울나라 산이 더 소중하게 느껴지는.
벌써 일년이 훌쩍 넘게 한 달에 두 번 이상씩 수유리에 가고 있지만,
정작 삼각산/북한산 (whatever you want to call it)에 올라간 횟수는 손에 꼽는다.
이 동네 사는 친구들은 동네 뒷산에 가듯, which it is for them, 이 산을 들락거린다.
특히 명진이 언니는 일주일에 5일은 올라간다. 그래서 이 산을, 그녀는 잘 안다.
나도 오늘은 모처럼 등산화까지 챙겨왔건만,
비가 와주시고.
그래도 우리는 명진언니의 안내를 따라 우산을 들고 저벅저벅 빗 길을 나섰다.
너무 챌린징한 코스를 가지 않고 그냥 둘레길을 걷기로 했다.
나름 예쁘장하게 푯말을 달고 샛길 연결하고 다듬어서 만든길.
내가, 산을 좋아하는 첫 번째 이유는 킁킁 나무냄새가 좋아서이고,
이유 2번은, 그 산을 오를 때, 내 신발 바닥이 산 길의 흙과 살짝 맞 닿으며 일으키는 그 어긋남 때문이다. 한 걸음 한 걸음 내딪을 때 마다, 신발 바닥에 거푸집같이 나 있는 틈으로는 흙이 안착되었다 빠지고, 평평한 부분에서는 흙과 신발이 밀리는 느낌.을 상상하게 된다. 쌩뚱스러운 상상이기는 하지만, 하이킹이 나에게 주는 묘미이다. 흙을 너무 밟지 못하고 살아서 그런건가?
아무튼, 그런데, 이 만들어진 계단은 산 길의 흙과 나의 접촉을 방해한다.
(이러다가, 고난이도 코스에서 체력이 소진될 때는 또, 급. 계단이 고마워지기도 한다.)
평소 토요일 같으면 줄을 지어 올라가야 할 텐데 (우리가 딱히, 가파른 상행을 한 것은 아니더라도),
비 덕분에 한갓진 숲속을 걷는 여유를 즐길 수 있었다.
인파가 없어서인지 눈에 잘 띄지 않는 생명체가 시선에 포착되었다.
갑자기 내 일상에 곤충과의 조우가 두드러진다고 여겨진다. 흡~
사실 애벌레는 처음 본다.
에릭칼 아저씨가 얘 덕분에 전 세계 수 많은 어린이들에게 알려지고,
... 떼 돈을 버셨겠지. (그림책 박물관도 만드시고.)
우리는 고개를 넘어서 화계사로 들어갔다. 여름에 해인사에 당겨왔더니, 화계사가 너무 작아보였다. 혹시나 수종사처럼 예쁜 茶방이 있을까 두리번 살펴보았지만, 실망.
잠시 수종사 이야기:
한국에서 살면서 여기저기 마주쳐야만 하는 것이 공사판이건만,
이 현장을 여기서까지 봐야하는 건가. 화가 났다. 그냥 산은 산대로 있게 두면 안되나.
산에 올라와서 멀 또 전망대를 올라가서 봐야 하나.
... 그래도 그냥 한 번 올라가봤다.
훕 - 여기 올라와서 보니 경치가 더 좋긴 좋으네.
(그래도, 불필요하다고 여긴다.)
한쪽으로는 복짝복짝한 서울이 내려다 보이고,
뒷 편으로는 화계사, 아카데미 하우스 (사진에서는 잘 안 보인다), 도봉산이.
우리처럼, 이 전망대에 올라오신 아저씨 아줌마 일행에게 사진 한 컷을 부탁드렸다.
올라갈 때는 가르멜수녀원 담벼락을 지나 올라가서,
화계사를 한 번 찍고,
영락기도원 쪽으로 내려왔다.
나무 냄새 신선한 이곳에서 산뜻하게 한국사회의 종교적인 화해/소통이 일어나면 좋겠다고
우리는 웃으면서 말해본다.
(근데 나는, 그 때 타자로 남아있고 싶다는 생각 =_=)
비 때문에 충분히 오르지 못한 것을 못내 아쉬워 하며... 마을로 돌아왔다.
바지 끝자락이 흥건히 젖었다.
'살다 살리다 살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late-night subway ride (4) | 2010.10.17 |
---|---|
지금은 이별 중 (30) | 2010.10.03 |
October 2010 (17) | 2010.10.01 |
Homemade French Dinner 2 (0) | 2010.09.20 |
at Border's, Santana Row (0) | 2010.09.20 |
- Filed under : 살다 살리다 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