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설은 일상에 위로를
Posted 2010. 10. 20. 16:0310대 초반 즈음부터 내 주변은 정치.경제.문화.사회.종교적으로 너무나 다른 사람들로 붐비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냥 신경끄고 나 대로 살아볼 수 있지 않았나 싶지만, 그 서로 다름의 간극속에서 그 "나대로" 사는게 안되었다. 나만의 정체성을 찾으려는 본능적인 분투가 지속. 그렇다고 해서, 지금 서른을 넘긴 나이에 내 정체성을 찾은 것은 아니고, 얼마전에는 나는 그냥 이렇게 끼인 상태에서 잘 살아가보는게 좋겠다는 well-meaning 조언을 받기도 했다. 흡!
2년쯤 전에 세진이의 추천으로 아트앤스터디에서 자본주의에 관한 강신주 교수의 강의를 접했다. 내가 살아가고 있는 장(자본주의)에 대한 무언가 불편한, 심히 불편한 점을 콕 찝어주는 시원함과 강사의 어눌하고 재미있는 말투에 푹 빠져들었다. 그러다가 작년에 이 내용이 책으로- 상처받지 않을 권리: 욕망에 흔들리는 삶을 위한 인문학적 보고서 - 나왔을 때 4권을 사서 3명한테 선물을 하고, 나머지 한 권은,
고이 모셔두었다.
모셔두길 1년.
이번에 여울 세미나교재로 밀어부쳐... 간택되다.
확 꽂히는 머리말 -
자본주의적 삶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친숙하다는 것, 그것은 무엇인가에 길들어 있다는 것입니다. [길들어 있다는 것은 - 왠지 네거티브한 느낌이다.] 어떤 것에 길들면, 우리는 그것을 나의 일부분인 듯 편안하게 여기기 쉽지요. [근데, 편한거다. 바로, 불편하지 않다는 거. 발가락이 끼는 작은 신발을 신었을 때의 느낌과는 비교도 안되는 그 불편함이 없다는 거.] 가령 누군가 그것을 문제 삼을 때, 우리가 마치 모욕을 당한 듯 불편한 감정을 느끼는 것도 이 때문일 겁니다. [이 것은 너무 편하게 살지말라고 비판하는 것인가?] 하지만 친숙해진 것이 항상 바람직한 것만은 아닙니다. [오 정말요?] 사실 친숙한 삶을 낯설게 성찰 [성찰! 이라는 big word]하는 일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 삶에 대한 의무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의무고 선택이고를 떠나, 그저 낯설은 내 일상이 불편하여, 뜨악하며 떠밀려 골치를 앓아왔다.] 삶은 우리 뜻과는 달리 항상 낯설어지는 과정에 있기 때문이지요. [계속 이래야 하는거?] 미리 낯설어지는 경험은 우리에게 삶에 대한 정답은 아니더라도, 지혜는 제공할 수 있는 법입니다. [무슨... 지혜???]
살면서 내게 딱 맞는 옷을 입은 듯한 편한 "느낌"을 항상 갈망하지만, 언제부터인가는,
어떤 종류든 획일적인 장에 있으면 불안해 진다. 낯선것에 낯이 익어버린.
강신주책에서, 낯설음에 대한 변론이 내게는 깊은 위로가 되어서 요즘 이 책을 열심히 읽고 있다. 덕분에 이상도 읽고.
강신주교수가 이 책을 쓴 이유는,
자본주의에 대해 경제학적 관점이 아닌,
이 돈 체제에 깊이 연루되어 있는 우리 내면세계를 탐색하게 해주려고.
"자본주의로 인해 상처받고 분열되어 있는 내면세계를 보듬고 치유할 수 있는 희망도 필요하다고 절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치유.라는 것은 아프다는 것을 인정할 때만 가능한 것이다. 이 돈 체제에서 쪄들어 사는 우리들 중에는, 이로 부터 받은 상처에 대해서 인지하지 못하거나 거부하는 이들이 많다 아주.
저자의 방법론:
이 책에 보면, 19세기 말 파리의 아케이드에서 변모한 백화점이 동경을 거쳐 경성에 상륙한 당시 (1930년대) 상황에 대한 재미있는 묘사분석이 있다. 그런 백화점에,
오늘날 애기들은 간난쟁이 시절부터 유모차에 실려 이른 경험을 시작한다.
일한이 - 우리교회 정원 9명의 평균 연령을 화악 깍아주는 대학교 3학년 생 - 가 마침 학교에서 강신주 교수의 수업을 들으면서 여러 여담을 얘기 해 주었는데,
저자는, 이 책을 쓰기 위해서 6개월 간 백화점에 가서 살다시피 하셨단다.
100년전의 모던보이들처럼.
salute to his passion!
2년쯤 전에 세진이의 추천으로 아트앤스터디에서 자본주의에 관한 강신주 교수의 강의를 접했다. 내가 살아가고 있는 장(자본주의)에 대한 무언가 불편한, 심히 불편한 점을 콕 찝어주는 시원함과 강사의 어눌하고 재미있는 말투에 푹 빠져들었다. 그러다가 작년에 이 내용이 책으로- 상처받지 않을 권리: 욕망에 흔들리는 삶을 위한 인문학적 보고서 - 나왔을 때 4권을 사서 3명한테 선물을 하고, 나머지 한 권은,
고이 모셔두었다.
모셔두길 1년.
이번에 여울 세미나교재로 밀어부쳐... 간택되다.
확 꽂히는 머리말 -
자본주의적 삶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친숙하다는 것, 그것은 무엇인가에 길들어 있다는 것입니다. [길들어 있다는 것은 - 왠지 네거티브한 느낌이다.] 어떤 것에 길들면, 우리는 그것을 나의 일부분인 듯 편안하게 여기기 쉽지요. [근데, 편한거다. 바로, 불편하지 않다는 거. 발가락이 끼는 작은 신발을 신었을 때의 느낌과는 비교도 안되는 그 불편함이 없다는 거.] 가령 누군가 그것을 문제 삼을 때, 우리가 마치 모욕을 당한 듯 불편한 감정을 느끼는 것도 이 때문일 겁니다. [이 것은 너무 편하게 살지말라고 비판하는 것인가?] 하지만 친숙해진 것이 항상 바람직한 것만은 아닙니다. [오 정말요?] 사실 친숙한 삶을 낯설게 성찰 [성찰! 이라는 big word]하는 일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 삶에 대한 의무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의무고 선택이고를 떠나, 그저 낯설은 내 일상이 불편하여, 뜨악하며 떠밀려 골치를 앓아왔다.] 삶은 우리 뜻과는 달리 항상 낯설어지는 과정에 있기 때문이지요. [계속 이래야 하는거?] 미리 낯설어지는 경험은 우리에게 삶에 대한 정답은 아니더라도, 지혜는 제공할 수 있는 법입니다. [무슨... 지혜???]
살면서 내게 딱 맞는 옷을 입은 듯한 편한 "느낌"을 항상 갈망하지만, 언제부터인가는,
어떤 종류든 획일적인 장에 있으면 불안해 진다. 낯선것에 낯이 익어버린.
강신주책에서, 낯설음에 대한 변론이 내게는 깊은 위로가 되어서 요즘 이 책을 열심히 읽고 있다. 덕분에 이상도 읽고.
강신주교수가 이 책을 쓴 이유는,
자본주의에 대해 경제학적 관점이 아닌,
이 돈 체제에 깊이 연루되어 있는 우리 내면세계를 탐색하게 해주려고.
"자본주의로 인해 상처받고 분열되어 있는 내면세계를 보듬고 치유할 수 있는 희망도 필요하다고 절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치유.라는 것은 아프다는 것을 인정할 때만 가능한 것이다. 이 돈 체제에서 쪄들어 사는 우리들 중에는, 이로 부터 받은 상처에 대해서 인지하지 못하거나 거부하는 이들이 많다 아주.
저자의 방법론:
이 책에 보면, 19세기 말 파리의 아케이드에서 변모한 백화점이 동경을 거쳐 경성에 상륙한 당시 (1930년대) 상황에 대한 재미있는 묘사분석이 있다. 그런 백화점에,
오늘날 애기들은 간난쟁이 시절부터 유모차에 실려 이른 경험을 시작한다.
일한이 - 우리교회 정원 9명의 평균 연령을 화악 깍아주는 대학교 3학년 생 - 가 마침 학교에서 강신주 교수의 수업을 들으면서 여러 여담을 얘기 해 주었는데,
저자는, 이 책을 쓰기 위해서 6개월 간 백화점에 가서 살다시피 하셨단다.
100년전의 모던보이들처럼.
salute to his passion!
'살다 살리다 살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 칼바위 능선 인증샷 (3) | 2010.10.22 |
---|---|
호모섹슈얼리티, 호모포비아 (0) | 2010.10.21 |
자라섬에 드리운 롯데의 그늘 (3) | 2010.10.18 |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4) | 2010.10.18 |
a late-night subway ride (4) | 2010.10.17 |
- Filed under : 살다 살리다 살림,